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테크43

디딤돌대출 연말정산 소득공제 혜택(ft.이자 상환액 공제) 내집마련 디딤돌대출 연말정산 소득공제 혜택이 있다는 사실을 의외로 많은 분들이 간과하고 있어서 이 부분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아래에서 디딤돌대출 연말정산 소득공제 혜택인 이자 상환액 공제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이면서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일용근로자 제외)가 주택구입 또는 주택임차를 위한 차입한 차입금의 이자 등을 상환하거나 지급한 경우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여기서 차입이란 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린 것을 의미하고, 이자는 대출 이자를 의미합니다. 즉, 내집마련 디딤돌대출로 집을 구입해서 원리금 또는 이자를 상환한 경우 연간 1800만 원까지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상환 기간 상환 방식 공제 한도 15년 이상 고정금리+비거치식 분할상환 .. 재테크 2023. 4. 5.
파주시 에너지 생활안정지원금 | 난방비 20만원 신청방법 파주시 에너지 생활안정지원금 | 난방비 20만 원 신청방법 전국 최초로 파주시 에너지 생활안정지원금 지급이 확정되면서 1세대 당 20만 원씩 난방비 지원을 받게 되었습니다. 12월 관리비부터 그야말로 난방비 폭탄을 맞으면서 정부 지원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파주시 에너지 생활안정지원금 난방비 20만원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에너지 생활안정지원금 신청방법, 신청기간 ✅ 신청기간 : '23.2.27(월)~3.30(금) 오후 23:00까지 ✅ 신청방법 : 온라인(파주시 홈페이지), 오프라인(행정복지센터) 구분 온라인 오프라인 신청장소 파주시 홈페이지 행정복지센터 운영시간 (평일/주말) 09:00~23:00 (평일) 09:00~18:00 신청방법 홈페이지 지원금 신청 팝업창.. 재테크 2023. 2. 6.
파주페이 신청방법 및 사용후기 파주페이 신청방법 및 사용후기 파주페이 신청방법 통해 파주시 지역화폐를 발급받았는데요! 충전액의 10%를 보너스로 제공해서 상당히 요긴하게 잘 사용했습니다. 에너지 생활안정지원금, 코로나 상생지원금 등 다양한 정부 지원금 사용이 가능하고, 파주시 내에서 사용이 자유로워 좋았습니다. 아래에서 파주페이 신청방법 및 사용후기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주페이 신청방법 ✅ 발급대상 : 파주시 전 지역(파주시 외 사용불가) ✅ 할인충전 : 상시(6%), 특별(10%) ✅ 소득공제 : 30% 적용 파주페이는 경기지역화폐 앱을 통해서 신청가능합니다. 경기지역화폐라는 어플의 이름처럼 설치 이후 앱을 실행하면 파주시를 비롯한 경기도 내 경기지역화폐를 신청하여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 경기지역화폐 앱 다운.. 재테크 2023. 2. 6.
에너지물가지원금 신청방법(1인당 최대 25만원) 에너지물가지원금 신청방법(1인당 최대 25만원) 에너지물가지원금 1인당 최대 25만원까지 지급을 포함한 7.2조 원 규모 동절기 난방비 지원 확대에 대해 민주당이 정부에 대해 강력히 촉구하면서 지급시기와 신청방법에 대해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에너지물가지원금 신청방법과 지급시기, 대상은 누구인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에너지물가지원금 간략 정리 22년 연말까지 미국발 고금리 행진으로 각종 이자부담이 커지고, 물가 상승에 지쳐있던 가운데 23년 새해에는 좀더 좋아지겠지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가 23년 1월 아파트 관리비를 받아들고는 모두가 경악을 금치 못했는데요! 가스비를 포함하여 버스, 택시, 지하철 요금부터 시작해서 각종 먹거리 음식들도 모두 일제히 가격을 올렸습니다. 이에 고물가.. 재테크 2023. 2. 4.
하위소득 30% 소득기준(중위소득 50% 100% 150%) 하위소득 30% 소득기준(중위소득 50% 100% 150%) 하위소득 30% 의 경우 대부분의 정부지원금 신청이 가능한데요! 하위소득라는 말 자체가 상당히 어색한 것은 사실입니다. 평소에 자주 사용하지 않다보니 더욱 그런데 하위소득 30%가 어떤 의미인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하위소득 30% 의미와 중위소득 100% 전체 소득을 0~100%를 기준으로 나눴을 때 하위소득은 0~30%를 의미합니다. 가장 하위인 0%부터 그 위로 30%까지 구간에 속하는 분들을 의미하는데요! 기준점이 상위(100%)인지, 하위(0%)인지 잘 보시면 됩니다. ❖ 하위소득 30% = 상위소득 70%를 제외한 구간과 같은 말입니다. 그렇다면 하위소득 외에도 자주 등장하는 "중위소득"은 무슨 의미일까요? 중위소득은 우리나라 국민의.. 재테크 2023. 2. 3.
반응형